샤덴프로이데

edit

1. 뜻과 어원[1]

edit

다른 사람이 불행할 때 뇌에서 느끼는 기쁨이며 인간의 본능이라 한다. 독일어 Schadenfreude에서 유래하였다. 손해를 뜻하는 Schaden과 기쁨을 뜻하는 freude를 합성하였다. 우리나라 말로는 질투와는 비슷한 결이지만 다른 느낌이다. 요즘은 잘 쓰이지 않지만 '쌤통'으로 가장 잘 나타낼 수 있겠다. 사촌이 땅을 사거나 학창시절 나보다 멍청했던 친구가 대기업에 취직 했을 때 느껴지는 고통이다.

일본 교토대 실험 외 여러 실험에서 증명되었다. 한 실험에서는 본인과 비슷한 처지의 사람의 잘나감을 다른 평범한 사람보다 더 부러워했고 뇌에서는 이를 고통으로 감지하였다고 한다. 이는 실험 뿐만 아니더라도 유튜브에서 유행했던 '내가 100만원 갖는 대신 내가 가장 싫어하는 삶이 1000만원을 얻을 때 100만원을 가질것인가'하는 밸런스 게임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갖지 않는다를 선택한다는 데에서 샤렌프로이데가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2. 예시[2]

edit

차를 험하게 몰던 차가 과속카메라에 찍혔을 때.

박식한 교수님의 공지 메시지에서 맞춤법 실수가 생겼을 때.

항상 연애를 쉽게 보던 친구가 애인에게 차였을 때.

잘나갔었던 아역배우가 나락으로 갔을 때.

내 피규어나 연예인 굿즈를 박살낸 사촌이 자신이 아끼는 사탕을 강아지에게 빼앗겼을 때.

멋 부리는 사람이 테라스 의자에 앉아 의자를 건들건들 뒤로 흔들다가 뒤로 넘어졌을 때.

우리는 이럴 때 은근한 쾌감을 느끼고 이것이 곧 샤덴프로이데 감정이다.

샤덴프로이데는 결코 가벼운 감정이 아니다. 또한 온전히 기쁨 만을 느끼는 것도 아니며 여러 복합적인 감정을 끌어올린다.

또 다른 예시로 예술품 수집가가 고가의 피카소 작품에 실수로 커피를 쏟았을 때 역시 우리는 샤론프로이데를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단순 오락 만을 느끼는 것 또한 샤론프로이데라 한다. 그 예로는 야외에서 어린 남자아이가 화장실이 급해 하필 옥수수 수염차 통에 실례를 했는데 그의 누나가 그것을 모르고 옥수수 수염차를 벌컥 마셨을 때라면 근처에 그 사실을 알고 있었던 다른 사람은 그녀의 행동에 오락적인 감정을 느낄 것이다.

3. 이 감정에 대해 필요한 자세[1]

edit

샤덴프로이데가 고통이라면 뇌에서 너무 피로함을 느끼지 않을까?

이 샤덴프로이데는 평균적으로 두 종류에서 느끼게 되어있다. 그 대상이 나와 관련이 있거나 내가 중시하는 분야일 경우와 경제적 돈이 관련되어있을 때 이 감정은 나타난다. 나와 상관이 없거나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분야의 사람들은 그 어떤 잘난 행동을 하든 이 감정이 유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위 예시에서 볼 수 있듯이 경제적으로 부자인 사람들을 볼 때 은근한 질투심을 느끼게 된다. 이는 다카하시 교수팀과 시카라 교수팀의 연구에서 생체 반응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이에 대해서 샤덴프로이데는 본능이기 때문에 이 감정이 불쾌한 사람들이 이 불편한 감정을 평생 안고 가야하나 고민이라면, 이들의 말을 빌리자면 그런 걱정은 할 필요없다. 왜냐하면 이들은 본인이 중시하는 분야를 여러가지로 늘리거나 바꿀 수 있고, 한 분야에 정진하겠다면 자신이 노력해서 그 분야에 대한 실력과 지식을 쌓는 것도 이 불편한 감정을 해결할 수 있다고 하며 인생 전체를 봤을 때 경제적인 성공, 즉 부자가 목적이 아닌 색다른 목표로 여기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김지은 이화여대 뇌 · 인지과학과 교수님은 질투라 일컬을 수 있는 이 불편한 감정이 본성일지라도 인간의 본성은 이것 하나만이 아닌 다수가 있으므로 절망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악한 본성이 있다면 선한 본성도 지니고 있는 것이 인간이며 타인을 도울 때 큰 행복을 느끼는 사례도 다수 존재한다고 말했다.

4. 인간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edit

자기 정보 노출로 인한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성장 또한 가능해진다.

edit

샤렌프로이데를 느꼈다고 해서 심각하게 자책하면 안 된다. 이는 어쩔 수 없이 느끼는 이 불편한 감정을 억지로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자신을 갉아먹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끔은 이 감정을 인정하고 밖으로 내뱉기도 하면서 풀어놓는 법도 알아야한다. 이를 고백함으로써 상대와의 오해를 풀거나 진솔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관계가 향상될 수도 있다.

  1. ^ a b "다른 사람이 불행할 때 뇌에서 느끼는 불편한 기쁨". term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1-06-15.
  2. ^ "위로해주려는데 왜 자꾸 웃음이 나올까". book.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1-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