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리터러시 edit

위키피디아

미디어 리터러시란 사람들이 미디어를 접근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창조하거나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관행을 포함한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하나의 매체로 제한되지 않는다.[1] 미국에 본사를 둔 전국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협회는 이를 모든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하여 접근, 분석, 평가, 생성 및 행동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한다.[2]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edit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종종 사람들이 보고 듣고 읽는 것에 대해 질문하도록 장려하는 조사 기반의 교육 모델을 사용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사람들이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도록 돕는 도구를 제공하고, 학습자들이 미디어에 대한 경험을 넓힐 기회를 제공하며, 그들이 그들 자신의 미디어 메시지를 만드는 창의적인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다[3]. 비판적인 분석은 저자, 목적 및 관점의 파악, 설계 기법 및 장르 검토, 미디어 표현 패턴 조사, 뉴스 및 공공 업무 프로그래밍의 선전, 검열, 편향(및 이러한 이유) 탐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미디어 소유권 또는 그 펀딩 모델과[4] 같은 구조적 특성이 제시된 정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할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이론적 접근 방식 edit

다양한 학자들은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르네 홉스는 학습자에게 미디어 리터러시(AA), 메시지와 의미(MM), 표현과 현실(RR)의 세 가지 프레임을 파악했다. 또한 그녀는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시각 리터러시, 그리고 새로운 리터러시로부터 얻은 문헌을 종합하면서 미디어 리터러의 이론적 맥락을 형성하는 핵심적인 사상을 파악했다.[5]

역사 및 국제 응용 프로그램 edit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구성주의 학습 이론, 미디어 연구, 문화 연구 학문에서 솟아오르는 이론적이고 비판적인 프레임워크를 통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 방법과 교육학에 적극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연구는 20세기 전반에 걸친 교육에서 미디어와 기술 사용의 유산과 미디어 연구와 교육의 교차점에서 학제간 작업이 출현하면서 생겨났다. 테사 졸스가 후원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센터를 통한 프로젝트인 미디어 리터러시(Voice of Media Literacy)는 영어권 국가에서 1990년대 이전에 활동한 미디어 리터러시 개척자 20명과 1인 인터뷰를 포함했다. 그 프로젝트는 그 분야에 영향을 준 사람들로부터 미디어 리터러시 증가를 위한 역사적 맥락을 제공했다.[6]

북아메리카 edit

북미에서는 교육의 주제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공식화된 접근방식의 시작은 1978년 온타리오에 본부를 둔 미디어 리터러시 협회(AML)가 결성된 데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전까지 미디어 교육에서의 가르침은 대개 개인 교사나 실무자들의 숙지였다. 캐나다는 북아메리카에서 학교 교과과정에 미디어 리터러시를 요구하는 첫 번째 나라였다. 모든 주에서는 미디어 교육을 교육과정에 의무화했다. 예를 들어, 퀘벡의 새로운 커리큘럼은 1학년부터 중등학교 최종학년까지 미디어 리터러시를 의무화한다(Secondary V). 캐나다에서 미디어 교육의 시작은 두 가지 이유로 시작되었다. 한 가지 이유는 미국 대중문화의 넘치는 상태에 대한 우려였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위한 교육 시스템 중심 내용의 필요성이었다. 캐나다의 커뮤니케이션 학자 마샬 맥루한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한 북미 교육 운동에 불을 붙였다. 캐나다의 미디어 리터러시 및 미디어 교육 리더 중 두 명은 배리 던컨과 존 포켄테다. 던컨은 2012년 6월 6일에 사망했다. 교직에서 은퇴한 후에도 배리는 여전히 미디어 교육에 적극적이었다. 포켄테는 예수회 사제로서 1960년대 초부터 미디어 리터러시를 장려해왔다.

유럽 edit

영국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발전의 선도자로 널리 알려졌다. 이 개발에 참여한 주요 기관으로는 영국 영화 협회[7], 영국 미디어센터[8], 런던교육원 어린이청소년미디어연구센터[9], DALE센터(디지털아트연구교육), 유니버시티 칼리지런던영국 영화 협회[10] 협력 등이 있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촉진'은 뉴노동당 하에서 영국 정부 정책이 되었고, 새로운 미디어 규제 기관인 Ofcom의 책임으로 2003년 통신법에 봉안되었다. 그러나 초기 활동이 활발히 일어난 후, 이와 관련된 Ofcom의 작업이 점차적으로 범위가 축소되었고, 연합 정부로부터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은 시장 조사의 문제로 축소되었다 - 월리스 앤 버킹엄이 '죽지 않은' 정책이라고 표현해 왔던 것이다.[11]

아시아 edit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미국이나 서구 국가들에 비해 아시아에서 아직 그렇게 널리 보급되거나 발전되지 않았다. 1990년대부터 동아시아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쪽으로의 전환이 있었다. 최근 아시아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증가하고 있으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 전역에 걸쳐 여러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중동 edit

요르단은 극단주의와 혐오표현 퇴치에 필수적인 미디어와 정보활용능력 배양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12][13] 요르단 미디어연구소는 통신기술과 디지털 미디어의 미디어와 도구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의 개념과 기술을 보급하고, 이들의 단점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4] 레바논 베이루트의 한 아카데미는 2013년, 학생들이 비판적인 미디어 소비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베이루트의 미디어 및 디지털 사용능력 아카데미(MDLAB)라고 불렀다.[15]

호주 edit

호주에서의 미디어 교육은 주입, 대중 예술, 해설과 관련된 영국의 발전에 영향을 받았다. 호주의 미디어 교육에 영향을 준 핵심 이론가들은 그람 터너와 호주의 미디어와 문화 연구 발전에 기여한 존 하틀리였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서호주 로빈 퀸과 배리 맥마흔은 Real Images와 같은 교과서를 집필하면서 많은 복잡한 미디어 이론을 교실에 적합한 학습 프레임워크로 번역했다. At the same time Carmen Luke connected media literacy with feminism promoting a more critical approach to media education. In most Australian states, media is one of five strands of the Arts Key Learning Area and includes "essential learnings" or "outcomes" listed for various stages of development. At the senior level (years 11 and 12), several states offer Media Studies as an elective. For example, many Queensland schools offer Film, Television and New Media, while Victorian schools offer VCE Media. Media education is supported by the teacher professional association Australian Teachers of Media. With the introduction of a new Australian National Curriculum, schools are beginning to implement media education as part of the arts curriculum, using media literacy as a means to educate students how to deconstruct, construct and identify themes in media.

같이 보기 edit

참조 edit

  1. ^ Ph.D, W. James Potter (2010-11-30). "The State of Media Literacy".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4 (4): 675–696. doi:10.1080/08838151.2011.521462. ISSN 0883-8151.
  2. ^ "Media Literacy Defined". 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2010-04-06. Retrieved 2020-10-01.
  3. ^ "The European Charter for Media Literacy". euromedialiteracy.eu. Retrieved 2020-10-01.
  4. ^ See Corporate media and Public broadcasting
  5. ^ Hobbs, R. (2006) Multiple visions of multimedia literacy: Emerging areas of synthesis. In Handbook of literacy and technology, Volume II.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Michael McKenna, Linda Labbo, Ron Kieffer and David Reinking, Editors.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 15 -28)
  6. ^ "Voices of Media Literacy: International Pioneers Speak | Center for Media Literacy | Empowerment through Education | CML MediaLit Kit ™ |". www.medialit.org. Retrieved 2020-10-01.
  7. ^ Education. BFI(2010-11-04) Retrieved on 2020-10-01
  8. ^ English and Media Centre | Home. Englishhandmedia.co.uk Retrieved on 2020-10-01
  9. ^ Home. Film Education. Retrieved 2020-10-01
  10. ^ "D.A.R.E." D.A.R.E. Retrieved 2020-10-01.
  11. ^ Wallis, Richard; Buckingham, David (2019-02-23). "Media literacy: the UK's undead cultural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25 (2): 188–203. doi:10.1080/10286632.2016.1229314. ISSN 1028-6632.
  12. ^ "Jordan making progress in media literacy — experts". Jordan Times. 2016-10-30. Retrieved 2020-10-01.
  13. ^ "Critical minds for critical times". Jordan Times. 2017-11-05. Retrieved 2020-10-01.
  14. ^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enter". Jordan Media Institute. Retrieved 2020-10-01.
  15. ^ Opportunities for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bu-Fadil, Magda,, Torrent, Jordi,, Grizzle, Alton,, أبو فاضل، ماجدة., International Clearinghouse on Children, Youth and Media., Nordicom. Göteborg, Sweden. pp. 41~47. ISBN 978-91-87957-33-8. OCLC 962328277.{{cite book}}: CS1 maint: others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