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Jang Sieun/sandbox2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자살률[1]이 가장 높고 정신질환 입원율이 가장 높은 등 정신건강 문제가 만연하다.[2] 한국은 국가 지원 정신 건강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대다수가 입원환자 병원 시설이나, 대부분 자금이 부족하고 활용도가 낮다.[3][4] 정신질환이 만연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인구 전반적으로 사회적 낙인이 퍼져 있어, 이로 인해 환자들은 치료를 받기를 꺼려하고 있다.[5] 정신질환은 모든 인구통계학적 그룹에 걸쳐 존재하지만, 한국은 그 중에서도 노인과 청소년 계층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할 수 있다.[6][7]

역사

edit

서양 의학은 선교사들을 통해 한국에 알려지게 되었고, 정신건강이 무속신앙전통 한방에서 1910년까지 한국을 점령하고 있던 일본 정부가 후원하는 정신병원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인도적인 경향이 강했던 선교병원도 존재했지만 정부의 정신병원으로 환자를 격리시킨 것은 한국 사회에서의 낙인 발전에 기여했다.[8] 최근 국내 정신건강의 기반이 장기입원에서 지역사회 기반 건강관리으로 바뀌고 있지만,[3][9] 정신병원 입원 기간은 상승추세다.[2][10] 이는 다른 OECD 국가들의 평균 입원 기간이[2] 2011년 한국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한국 보건 인프라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일부 전문가들은 국내 정신병원의 치료방법이 다른 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2]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인식

edit

한국인들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내면화된 낙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것은 더 높은 정신질환 비율과 더 심각한 증상들과 관련이 있다.[5][11] 정신질환에 걸린 사람 중 7%만이 정신과 치료를 받는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한국 문화에서 정신건강에 대한 치료를 받는 것은 크게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12] 유교의 영향을 많이 받는 문화로서, 가족의 명예가 개인보다 우선시되어, 한국인들은 가족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치료를 포기하게 된다.[13] 또한 한국의 의사들은 유교 문화가 개인의 의지와 자기 수양을 강조하여 정신 건강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조성한다고 말한다.[14] 치료를 받는 사람들은 때때로 자신의 보험 기록에 있는 정신 건강 서비스와 관련된 낙인을 피하기 위해 보험 처리 없이 현금을 지불하기도 한다.[13] 낙인은 또한 정신질환을 회복하고 있는 사람들의 사회복귀를 방해한다.[12]

정신적 건강관리

edit

대한민국 법은 정신건강 상태에 따른 직장 차별을 금지하고 있지만, 이러한 법률의 시행이 미흡하여 차별이 지속되고 있다.[4] 잘 훈련된 많은 정신과 의사들과 다른 정신 건강 전문가들이 있지만, 정신 건강은 1차 진료에서 분리되어 있으며, 여전히 한국이 정신 건강 관리에 대해 강한 낙인을 갖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4] 정신건강의약품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한국에서도 서양환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약품을 구할 수 있다. 국가가 제공하는 보편적인 건강 보장 범위는 대다수의 한국인들이 정신질환 약과 치료를 받을 여유가 있음을 의미하지만,[15] 낙인은 사람들이 건강 보장 범위를 이용하는 것을 방해하기도 한다.[13]

정신건강에 대한 공공지출은 3%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외래환자 시설에서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원환자 시설에 간다.[4] 2005년, 한국 정부는 공식적인 국가 예산에서 정신건강에 대한 어떤 자금도 할당하지 않았다.[15]

한국 정부는 1995년에 정신보건법을 통과시켰다.[9] 정신보건법은 정신건강의료를 지역사회가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국립정신병원과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를 확대하였다.[15] 그러나, 그 행동은 자발적이지 않은 입원을 훨씬 더 쉽게 만들었다.[9] 2017년 정신보건법이 개정돼 입원 시설을 보유한 정신병원에 입원하는 사람들의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기 시작했다. [16] 1999년 제정된 의료보호법과 장애인복지법은 장애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있으며, 정신질환자는 2000년부터 이 법에 따라 보호 받을 자격을 얻었다[15]

정신질환

edit

기여요인

edit

1990년대 후반의 경제적 어려움은 한국뿐만 아니라, 경제 불황의 영향이 미친 거의 모든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서도 정신 질환과 자살의 급격한 증가를 가져왔다.[17] [18] 한국 인구 내의 사회적 낙인 또한 사람들이 처음에 치료 받는 것을 꺼리게 하며 정신 질환의 심각성을 악화시킨다.[5][11] 폭음 등 낙인 이외의 문화적 요인도 한국 사회 내 정신건강 문제에 기여할 수 있다. 한국의 사회, 학계, 기업 구조 때문에 한국인들은 비교적 어린 나이로부터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는다. 한국인들의 지능과 놀라운 직업 윤리는 여기저기 알려져있다; 이러한 자질들은 경제에 크게 기여하지만 경제를 움직이는 사람들을 엄청난 압박에 처하게 한다.한국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지적 우수성에 집요하게 초점을 맞추고 있는 교육 시스템에 놓여 있으며, 수준 이하의 것들은 용납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자살은 청소년기의 한국인에게 가장 많은 사망원인이며, 학교 시스템상 자살은 숨막히는 현실이다. 한국 학생들은 학업 압박뿐만 아니라, 어떤 학교 환경에서도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겪을 수 있는 공통적인 스트레스 요인에 직면한다. 왕따는 10세에서 19세 사이의 한국인들 사이에서 우울증에 기여하는 요인이다. 학교 시스템에서 아이들은 경제적 지위나 다른 사소한 이유로 희생된다. 한국 학생들은 또래들 사이의 경쟁 환경을 조장하는 그들의 또래들보다 뛰어나도록 격려 받는다. 왕따를 당한 한국 학생들은 시험성적이 낮고 자존감이 낮고 불안감이 높아져 우울증 피해자가 되기 쉽다고 한다.

우울증

edit

2001년, 한국 인구의 3-4.2 퍼센트가 DSM-IV에 설명된 것처럼 심각한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이 수치는 증가하고 있다.[6] 여성, 흡연자, 교대근무자,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 저녁에 운동하는 사람, 자신의 삶을 스트레스라고 여기는 사람, 체중 미달의 사람들은 심각한 우울증을 겪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6] 한국 경제에서 40억 달러 이상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정되며, 그 가치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질병 비용이다.[19] 우울증 치료와 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 국민 건강뿐만 아니라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19]

알코올 사용장애

edit

미국과 동아시아 국가에 비해 국내에서는 알코올 사용장애가 더 만연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치료법이 모색될 가능성이 4배나 낮다.[20]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알코올 사용장애를 가진 사람 중 전문가의 어떠한 형태의 치료나 개입을 받은 적이 있는 사람은 2%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21] 이계송 교수는 2013년 한 연구에서 한국인의 거의 7%가 알코올 사용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높은 비율이다.[21] 한국인은 세계 어느 나라 국민보다 1인당 부피로 더 많은 술을 마시는데, 그 다음으로 높은 소비자인 러시아인에 비해 알코올 섭취량은 2배, 1인당 알코올 섭취량은 1.5배이다.[22] 알코올 사용장애의 유행은 직장인들이 퇴근 후 동료들과 과음할 것을 기대하면서 높아진다.[13] 술을 마시는 것은 친구나 동료와 유대를 맺는 방법으로 보여지는 것 외에 스트레스 해소 방법으로도 보여진다.[22] 하지만, 알코올 중독은 한국에서 강력 범죄와 관련이 있는데, 강력 범죄 사건 5건 중 약 2건이 술에 취한 사람에 의해 저질러진다.[21]

Other mental illness

edit

Maeng-Je Cho et al. found that over one-third of the South Korean population has had a mental disorder at any point in their lives, and over one-fifth have experienced a disorder in the past year.[23] 17% of the South Korean population has insomnia, which is a rate comparable to that of insomnia in the United States.[24] 6.6% of Koreans have nicotine dependence disorder, 2% have a mood disorder, and 5.2% have an anxiety disorder, all of which are less frequent among Koreans than among Americans.[20]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s especially prevalent among refugees from North Korea living in South Korea.[25] In a 2005 study, Jeon et al. found that 29.5%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were found to suffer from PTSD.[25] A higher rate was found among female refugees than male refugees.[25]

Demographics of mental illness

edit

Mental illness in the elderly

edit

Between 17.8 and 27.9 percent of those aged 65 or older in South Korea are likely to suffer from depression,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ate in other countries.[26] Factors associated with late life depression in Korea include illiteracy, living alone, poverty, low education, smoking, head trauma, and intellectual disability.[26] The high rate of depression among Korean elders may be a result of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and the dissolution of the tradition of children caring for their aging parents.[26] Government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such as the Law of Elderly Welfare, are inadequate to provide for the growing population's needs, contributing to mental illness within the demographic.[7]

Among a sample of elderly Korean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34% were found to have depression, less than a fifth of which had ever seen a mental health professional. The majority of older Korean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exhibited a negative percep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27]

Mental illness in adolescents

edit

More than 10% of Seoul adolescents have been found at high risk for internet addiction disorder.[28] Internet addic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factors including child abuse and a harsh parenting style.[28]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re both correlated with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29]

The 2009 study named, Addictive Internet Use among Korean Adolescents:A National Survey, found that a reason why internet addiction disorder is so prominent in Seoul adolescents, is due to a large number or students using the internet primarily for online gaming. In middle school males, 67.0% listed online gaming as their primary use of the internet. High school males listed online gaming as their primary use of the internet at 44.8%. When females of the same age are taken into account, 23% listed their primary use for blogging/ updating personal homepages. High school females listed searching information at 23.9% as their primary use of the internet.[30] A reason why males are more exposed to internet addiction disorder is the idea of internet shops called PC bangs, where the common customers are male from mid teens to late twenties.[31]

Hyun-Sook Park et al. have found a gender difference in predictors of suicide ideation among Korean youth; with the main predictors for females being bullying, sexual orientation, depression, low self-esteem, and hostility; and the primary predictors for males being history of suicide attempt, parental alcohol abuse, smoking, hostility, and low self-esteem.[32]

Besides the elderly, adolescents have the highest suicide rate in South Korea[6] and adolescents had the highest proportional increase in suicide rate between 1986 and 2005.[7]

Suicide

edit

In 2013, the suicide rate in South Korea was 29.1 per 100,000, a decrease from 33.3 per 100,000 in 2011. This rate is more than twice the OECD average.[2] Between 2000 and 2011, South Korea's suicide rate more than doubled, contrary to the international trend of a steadily decreasing suicide rate.[2] This rise in suicides is potentially linked to the economic wellbeing of South Koreans, as suicides have historically been higher during times of economic strife.[7] The increase in suicides has been most significant among women, adolescents, and the elderly.[6][7]

References

edit
  1. ^ "Health status - Suicide rates - OECD Data".
  2. ^ a b c d e f "Korea's increase in suicides and psychiatric bed numbers is worrying, says OECD" (PDF). OECD. Retrieved 7 October 2017.
  3. ^ a b Roh, Sungwon (2016). "Mental health services and R&D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Systems. 10 (45): 45. doi:10.1186/s13033-016-0077-3. PMC 4890259. PMID 27257434.{{cite journal}}: CS1 maint: unflagged free DOI (link)
  4. ^ a b c d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WHO-AIMS Report on Mental Health in Republic of Korea" (PDF). WHO Collaborating Center fo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n Korea. Retrieved 7 October 2017.
  5. ^ a b c Kim, Woo Jung; Song, Yoon Joo; Ryu, Hyun Sook (2015). "Internalized Stigma and Its Psychosocial Correlates in Korean Patient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Psychiatry Research. 225 (3): 433–39. doi:10.1016/j.psychres.2014.11.071. PMID 25554354.
  6. ^ a b c d e Ohayon, Maurice M.; Hong, Seung-Chul (2006). "Preval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40 (1): 30–36. doi:10.1016/j.jpsychires.2005.02.003. PMID 15878179.
  7. ^ a b c d e Kwon, Jin-Won; Chun, Heeran; Cho, Sung-il (27 February 2009). "A closer look at the increase in suicide rates in South Korea from 1986-2005". BMC Public Health. 9 (72): 72. doi:10.1186/1471-2458-9-72. PMC 2667417. PMID 19250535.{{cite journal}}: CS1 maint: unflagged free DOI (link)
  8. ^ Min, Sung-kil; Yeo, In-sok (2017). Mental Health in Korea: Past and Present. International and Cultural Psychology. pp. 79–92. doi:10.1007/978-1-4899-7999-5_5. ISBN 978-1-4899-7997-1. {{cite book}}: |journal= ignored (help)
  9. ^ a b c Kahng, Sang Kyoung; Kim, Hyemee (2010). "A Developmental Overview of the Mental Health System in South Korea". Social Work in Public Health. 25 (2): 158–175. doi:10.1080/19371910903070408. PMID 20391259.
  10. ^ Kim, Agnus M (2017). "Why do psychiatric patients in Korea stay longer in hospital?".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Systems. 11 (2): 2. doi:10.1186/s13033-016-0110-6. PMC 5210288. PMID 28066503.{{cite journal}}: CS1 maint: unflagged free DOI (link)
  11. ^ a b Boyd, Jennifer E; Adler, Emerald P (January 2014). "Internalized Stigma of Mental Illness (ISMI) Scale: A Multinational Review". Comprehensive Psychiatry. 55 (1): 221–231. doi:10.1016/j.comppsych.2013.06.005. PMID 24060237.
  12. ^ a b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s. "RRT Research Response" (PDF). Refugee Research Tribunal. Retrieved 7 October 2017.
  13. ^ a b c d McDonald, Mark (6 July 2011). "Stressed and Depressed, Koreans Avoid Therapy". The New York Times.
  14. ^ Chu, Marian (12 January 2018). "Why is mental health treatment sluggish in Korea?". Korea Biomedical Review. Retrieved 3 August 2019.
  15. ^ a b c d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Mental Health Atlas 2005.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ss. pp. 384–385. ISBN 92-4-156296-X.
  16. ^ Shin, Dongho (6 March 2017).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expressed support for the revision of the Korean Mental Health Act". Department of Mental Health Policy. Retrieved 20 October 2017.
  17. ^ Khang, Young-Ho; Lynch, John W.; Kaplan, George A (2005-12-01). "Impact of economic crisis on cause-specific mortality in South Korea" (PDF).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4 (6): 1291–1301. doi:10.1093/ije/dyi224. ISSN 0300-5771. PMID 16338946.
  18. ^ Chang, Shu-Sen; Gunnell, David; Sterne, Jonathan A.C.; Lu, Tsung-Hsueh; Cheng, Andrew T.A. (2009). "Was the economic crisis 1997–1998 responsible for rising suicide rates in East/Southeast Asia? A time–trend analysis for Japan, Hong Kong, South Korea, Taiwan, Singapore and Thailand". Social Science & Medicine. 68 (7): 1322–1331. doi:10.1016/j.socscimed.2009.01.010. PMID 19200631.
  19. ^ a b Chang, S.M.; Hong, J.P.; Cho, M.J. (May 2012). "Economic burden of depression in South Korea".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47 (683): 683–689. doi:10.1007/s00127-011-0382-8. PMID 21526429.
  20. ^ a b Chou, S. Patricia; Lee, H.K.; Cho, M.J. (April 2012). "Alcohol Use Disorders, Nicotine Dependence, and Co Occurring Mood and Anxiety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A Cross-National Comparison".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36 (4): 654–662. doi:10.1111/j.1530-0277.2011.01639.x. PMC 5428384. PMID 21919925.
  21. ^ a b c Lee, Kye-Seong (2013-05-01). "The Relationship of Alcohol and Crime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8 (5): 643–5. doi:10.3346/jkms.2013.28.5.643. ISSN 1011-8934. PMC 3653072. PMID 23678251.
  22. ^ a b A Closer Look at South Korea's Drinking Culture, retrieved 2017-11-14
  23. ^ Cho, Maeng Je; Kim, Jang Kyu; Jeon, Hong Jin (March 2007). "Lifetime and 12-Month Prevalence of DSM-IV Psychiatric Disorders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5 (3): 203–210. doi:10.1097/01.nmd.0000243826.40732.45. PMID 17468679.
  24. ^ Ohayon, Maurice; Hong, Seung Chul (2002). "Prevalence of Insomnia and Associated Fa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3 (1): 593–600. doi:10.1016/S0022-3999(02)00449-X. PMID 12127177.
  25. ^ a b c Jeon, WooTaek; Hong, ChangHyung; Lee, ChangHo; Kim, Dong Kee; Han, Mooyoung; Min, SungKil (2005-04-01). "Correlation between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8 (2): 147–154. doi:10.1002/jts.20017. ISSN 1573-6598. PMID 16281207.
  26. ^ a b c Park, Joon Hyuk; Kim, Ki Woong (2002).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Late Life Depress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8 (1–2): 34–40. doi:10.1016/j.jad.2011.12.038. PMID 22284016.
  27. ^ Jang, Yuri; Kim, Giyeon (April 2007). "Attitudes of Older Korean Americans Toward Mental Health Service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5 (4): 616–620. doi:10.1111/j.1532-5415.2007.01125.x. PMC 1986774. PMID 17397442.
  28. ^ a b Park, Soo Kyung; Kim, Jae Yop (February 2008).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and Correlations with Family Factors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Adolescence. 43 (172). Choon Bum Cho.
  29. ^ Ha, J.H.; Kim, S.Y. (August 2007).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ts". Psychopathology. 40.
  30. ^ Heo, Jongho; Oh, Juhwan; Subramanian, S. V.; Kim, Yoon; Kawachi, Ichiro (2014-02-05). "Addictive Internet Use among Korean Adolescents: A National Survey". PLoS ONE. 9 (2): e87819. doi:10.1371/journal.pone.0087819. ISSN 1932-6203. PMC 3914839. PMID 24505318.{{cite journal}}: CS1 maint: unflagged free DOI (link)
  31. ^ "'PC Bang' Emerges as New Way of Promotion". koreatimes. 2007-07-23. Retrieved 2019-11-13.
  32. ^ Park, Hyun Sook; Schepp, Karen G. (2006).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by Gender in South Korea". Journal of School Health. 76 (5) – via Gale.

South Korea Mental Health